아래 다른 글에서 언급했다시피 현재 4월 서울아트시네마에서 열릴 버드 뵈티커 특별전 상영작을 번역하고 있다. 꽤 오랫동안 '이 감독 좋아하는 사람은 한국에 나밖에 없는 거 아닌가' 하는 오만한 애정마저 품었던 감독인데, 이렇게 소개된다니 반갑기도 하고 허전하기도 하다. 어차피 이번에 소개된다고 한들 갑자기 우리나라에서 인기인이 될 리는 없겠고, 고전기 할리우드의 더 유명한 감독들만큼 알려질 리도 없을 테고, 아마 그저 라울 월쉬나 새뮤얼 풀러보다 약간 못한 정도, 대충 리처드 플라이셔 정도의 인지도를 쌓고 끝나지 않을까 싶긴 하지만.

 하여간 이 거의 알려지지 않은 감독에 관해서 한국 영화 업계 종사자들이 종종 겪곤 했던 어려움이 하나 있으니(당사자들이 과연 어려움이라고 여겼는지는 의문이지만), 바로 "Boetticher"라는 성을 어떻게 부르고 표기하느냐 하는 문제다. 답은 2001년 12월 1일 이 감독이 세상을 떠났을 때 『뉴욕 타임즈』에 실린 부고 기사에서 확인할 수 있다. 미국인들에게도 이것은 약간 신경 쓰이는 문제였던지, 기사는 Boetticher 옆에 "pronounced BET-i-ker"라는 설명을 덧붙여두었다. 더불어 지금은 인터넷 시대다. 유튜브를 조금 뒤져보면 사람들이 유명인사의 이름을 어떻게 부르는지 직접 확인하기란 그리 어렵지 않다. 뵈티커를 존경했던 마틴 스콜세지, 클린트 이스트우드, 그리고 실제로 뵈티커와 함께 일했던 로드 테일러, 스튜어트 위트먼 등은 모두 그를 "BET-i-ker"라고 부른다. 한국어로는 "베티커" 정도? 혹은 Boetticher라는 성이 원래 독일계이며 실제로 발음할 때 "ㅗ" 음가가 살짝 들어가는 것을 고려하면 "뵈티커"라고 할 수도 있겠고.

 서울아트시네마에서는 현재 "버드 보티커"로 낙점한 모양인데, 기존에 널리 쓰이던 "보티처"나 "보에티처"가 되지 않은 것은 다행이지만 "boe"를 "보"로 표기하기로 한 것은 역시 조금은 낯설고 아쉽다. 외국어 발음을 한국어 표기로 옮기는 과정에서는 어느 정도의 음차가 발생하기 마련이니 완벽한 표기는 없다고 해야 할지도 모르겠지만, 그렇더라도 "보"보다는 "베"나 "뵈"가 더 실제 통용되는 발음에도 가깝고 외래어 표기법에도 맞는지라. 이렇게 한 번 선례를 만들면 아무래도 이후에 널리 쓰일 텐데.
Posted by 거시다
,